top of page

작가, 디자이너, 연구자 이력

painter, designer, researcher CV

 

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석사 재학.

(타이포그래피 연구실) 서울.

M.F.A in visual design

(typography lab),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18

가천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사 졸업. 성남.

B.F.A in visual design,

Gachon university. Seongnam.

 

2022

벗이미술관

창작 레지던시 입주. 용인.

art museum versi

artist residency program. Yongin.

참고자료

[디자인 매거진 CA #260] 인터뷰

 

visualsfrom(video production) MV 연출·미술팀

[10cm-가진다는 말은 좀 그렇지]

[niziU-blue moon] [tahiti80-UFO]

[볼빨간사춘기-friend the end] 외 다수

전시경력

exhibition

 

2025

[la trahison des langages]

갤러리 아원. 서울.

gallery ahwon. Seoul.

2024

[ㅎKㄱR]

코너갤러리. 서울.

corner gallery. Seoul.

2023

[Kill Time Trash: 비디오 아트 상영회]

WESS. 서울. Seoul.

[독백 展]

벗이미술관. 용인.

art museum versi. Yongin.

2021

[space of color 展]

자인제노 갤러리. 서울.

gallery zeinxeno. Seoul.

[concept 2021 展]

시카미술관. 김포.

CICA museum. Gimpo.

[CJS mini show at cafe apricot]

살구다방. 서울.

cafe apricot. Seoul.

2019

[Chung jinsung, cafe apricot]

살구다방. 서울.

cafe apricot. Seoul.

정진성: 이미지의 자리를 지키기
이연숙(리타)

흔히 연작이 하나의 제목(또는 주제)을 갖는
계열체들의 군집을 의미하는 반면 정진성의〈제목
있음〉 연작은 ‘제목이 있다’는 공통점 외에는 각각의 작품 간 유사성이 없다. 〈언덕〉, 〈十〉, 〈사랑〉, 〈달〉 , 〈죽음〉과 같은 제목은 캔버스 속 단순한
형태의 기호들과 언어적 등가 관계를 이루며 그 이상의 ‘해석’이 개입될 여지를 차단한다. 지금까지 그가
작품에 제목 대신 작품에 대한 아무런 정보값이 없는 “분류 번호”를 달며 결과적으로 ‘제목 없음’, ‘무제’를 고집해 온 까닭은 “작품에 대한 언어적 간섭을 소거”
하기 위함이다. “작품에 대한 언어적 간섭”이라는
문장은 곧 작품(이미지)과 언어(텍스트)가 분리될 수 있으며 후자가 전자에 의해 간섭 또는 침해
‘당한다’라는 관점을 내포한다.

요컨대 작가에게 그의 작품-이미지에 대한 (심지어
친절하기까지 한) ‘설명’이 요구되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대중적인) 관객들은 눈 앞에 작가가 보여
주기를 원한 작품-이미지를 두고도 작가가 무엇을
‘표현’하고 싶어했는지를 직접 그의 말로써 듣기를
원한다. 물론 관객들은 그의 말 자체 보다는 그의
‘목소리’ 혹은 ‘태도’를 더 궁금해 하기도 했겠지만, 어쨌든 이 지점에서 작가는 자신의 1차적 표현 방식인 작품-이미지를 2차적 표현 방식인 ‘말’로 번역 또는 ‘번안’ 해야만 한다. 발화 당시의 맥락 속에서 유용한 ‘의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작품-이미지를 길들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정진성은 이와 같은 상황,
즉 “언어라는 표현 방식과 대등하게”, “개별자로”
존재하고 있는 “시각 표현 방식”을 “언어 표현으로
다시 해명”할 것이 요구되는 “일상적, 사회적 상황”이 거북하고 “불편”하다고 쓴다. 왜냐하면 이러한 상황의 고착화는 이미지가 그 어떤 잉여도 남기지 않고 언어로 얼마든지 환원될 수 있음을, 그러므로 이미지는
결국 언어에 흡수될 수 밖에 없음을 인정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고대 형이상학 철학자들이 문자를 목소리의 대리
보충으로 간주했다고 데리다가 썼듯이, 현대의
문자중심주의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미지는 언어의 대리 보충으로 간주되곤 한다. 이미지의 구체적이고
단독적인 물질성은 언어의 의미 체계 속에서 하나의
낱말, 하나의 문장으로 간단히 포획된다. 붙잡힌
이미지는 언어에 필패할 수 밖에 없다. (전직)
디자이너이자 작가로서 정진성이 “불편함”을 넘어
“반항심”을 부릴 수 밖에 없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왜 이미지가 제 발로 순순히 언어 속으로 기어
들어가야 하는가? 정진성에게 작가란 그러므로
고집스럽게 언어와 타협하지 않는, 끝끝내 이미지의 ‘무의미한’ 자리를 지키는 태도를 고수하는 자를
뜻한다. 그는 특정 대상을 재현하거나 특정 주제를
‘표현’하는 대신 오직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이 곧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이다”(프랭크 스텔라)의 태도를
꿋꿋이 반복하고 지속할 뿐이다. 〈제목 있음〉 연작은 이런 관점에서, 이미지-언어의 위계에 대항하는
(작가적) 의지와 태도를 보여 주는 일종의 미술사적
코멘트이자 퍼포먼스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기실 정진성의 〈제목 있음〉 연작을 통한 (예술적)
실험 내지는 ‘선언’은, 한 편으로는 모더니즘 회화의 (추상 표현주의의) 계보 속에서, 또 다른 한 편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미술적인) 시도들 속에서
참조점을 확보할 수 있을 것 같다. 전자는 색과
면이라는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물질성을 강조하며 으레 회화에 기대되는 서사(이야기)와 재현(대상)을
거부한다. 후자는 예술 자체로부터 ‘저자(작가)’도, ‘제목(의미)’도 소거하며 작품의 단독성
(오리지널리티)이라는 ‘신화’를 시험에 들게 한다.
미술사 뿐만 아니라 영화사에서도 이미지-언어(또는
서사)의 대결 구도는 항상 논쟁적인 것이었다. 몇몇
초기 영화 비평들은 언어로 반복 가능한 장면은 결코 ‘진정한’ 영화적 체험을 제공해 줄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미지 역시도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으며, 영화란 곧 언어와는 다른 이미지‘만’의 논리와 형식에 복종하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이는 정진성을
포함해, 언어로부터 이미지의 해방을 요구하는 이들이 꼭 숙지해야 할 사실이 아닌가 싶다.

 

Chung jin-sung: Keeping images in place.
Lee, Yeon-sook (Rita)

While a series usually refers to a group of works with a single title (or theme), Chung 's Titled series has no similarity between the works except that they have a title. Titles such as Hill, 十, Love, Moon, and Death establish a linguistic equivalence with the simple shapes of the signs on the canvas, cutting off any room for further 'interpretation'. The reason why he has been insisting on ‘untitled’ works instead of titles is to "eliminate linguistic interference with the artwork”. The phrase "linguistic interference with the artwork" implies the idea that the artwork (image) and language (text) can be separated, and that the latter is ‘interfered’ with or infringed upon by the former.

In short, imagine a scene in which an artist is asked to give a (friendly, even) 'explanation' of his artwork-image: the (public) audience has the artwork-image in front of them that the artist wanted them to see, but they want to hear in words what he wanted to 'express'. Of course, the audience may be more curious about his 'voice' or 'attitude' than his words themselves, but at this point, the artist must translate or 'adapt' his primary mode of expression, the artwork-image, into a secondary mode of expression, the words. The work-image needs to be tamed so that it can become a useful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the utterance. Chung writes that these situations, "every day and social situations" in which "visual modes of expression" that exist "separately" and "on a par with verbal modes of expression" are required to be "reinterpreted as verbal expressions," are “uncomfortable”. The fixation on this situation leads to an acknowledgment that the image can be reduced to language without leaving any surplus, and therefore that the image can only be absorbed by language.

Just as Derrida writes that the ancient metaphysical philosophers regarded the written word as the supplement for the voice, so too, in modern literalism, the image is often regarded as the supplement for language. The concrete, singular materiality of the image is simply captured in a word, a sentence, in the semantic system of language. This is the point at which Chung becomes more than "uncomfortable" but "rebellious" as a (former) designer and artist. Why should the image integrate into language of its own accord? For Chung jin-sung, artist is therefore someone who stubbornly refuses to compromise with language and maintains the ‘meaningless’ place of the image. Instead of representing a specific object or 'expressing' a specific theme, he merely repeats and persists in the attitude that "what you see is what you see" (Frank Stella). From this perspective, the Titled ser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kind of art historical comment and performance that shows the (artist's) will and attitude against the image-language hierarchy.

The 'manifesto' and (artistic) experimentation through the series Titled can be seen as a reference point within the lineage of modernist painting (abstract expressionism) on the one hand, and post-modernist (conceptual art) endeavors on the other. The former emphasizes the materiality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a painting - color and surface - and rejects the narrative (story) and representation (object) that is often expected of painting. The latter erases the 'author(artist)' and 'title(meaning)' from the art itself and puts the 'myth' of the artwork's singularity (originality) to the test. The image-language (or narrative) confrontation has always been a contentious one, not only in art history but also in film history. Some early film critics went so far as to say that scenes that could be repeated verbally could never provide an ‘authentic’ cinematic experience. This is because images, like language, are structured, and cinema is a medium that ‘only’ submits to the logic and form of images, which is different from language. This is something that those who call for the emancipation of the image from language, including Chung jin-sung, must recognize.

  • Instagram
2025 CJ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